◼︎ 업종코드란 무엇인가?
주업종코드확인서를 발급하기에 앞서, 업종코드가 무엇인지 알아본다.
'업종코드'에 대해 검색해보니, 연관 검색어로 '분류코드'까지 나온다.
혹 떼려다 혹 하나 더 붙인 느낌이긴 하지만, 계속 파본다.
'업종코드'는 국세청에서 조세행정을 목적으로 관리하는 코드,
'분류코드'는 통계청에서 통계작성을 목적으로 관리하는 코드다.
※참고. 한국표준산업분류(통계청)와 업종분류(국세청) 차이점○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는 통계작성을 위해 만든 분류이며, 국세청 업종분류는 조세행정을 위해 만든 분류입니다. - 그러므로 국세청 사업자등록시 기입하는 업종분류 코드는 한국표준산업분류가 아닌 국세청 업종분류 코드입니다. - 참고로,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는 5자리, 국세청 업종분류코드는 6자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 주업종코드확인서
중견기업확인서, 기업부설연구소확인서,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등 회사나 근로자의 정보를 확인해주는 각종 확인서들이 많다.
그 중 특이한 확인서가 있다.
'주업종코드확인서'라는 것이 그것이다.
특이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다른 증명서들과 다르게,
국세청 홈페이지의 일부 메뉴에서 조회되는 화면을 인쇄한 뒤, 회사의 직인을 찍어야만 확인서로써의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 주업종코드확인서 제출처 및 용도
중소기업청 관련 대출(ex.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대출)
중소기업 관련 세제 혜택 증빙
발행주체: 회사(사업주)
◼︎ 주업종코드확인서 발급 방법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 접속(https://www.hometax.go.kr/)
→ 'MY홈텍스' 클릭!
→ 로그인
→ '기타 세무정보' 클릭!
→ '사업자등록사항 및 담당자 안내' 클릭!
→ 상세보기 바로 아래 '보기' 클릭!
→ 이때 새창으로 보여지는 '사업자등록사항 및 담당자 상세안내' 화면을 출력
→ 아직 끝난 게 아니다.
'사업자등록사항 및 담당자 상세안내' 화면 출력물에
원본대조필 도장과 직인을 날인하고,
사실 확인을 했다는 문구를 기재해야 끝이다.
'HR(인사노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용 이력서에 기재할 필요 없는 정보 (0) | 2024.07.13 |
---|---|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어떻게 분류? (0) | 2024.06.29 |
회사가 근로자의 4대보험료를 체납 했을 때, 실업급여는? (0) | 2024.06.02 |
계약직 근로자 계약기간 만료와 동시에 같은 조건으로 재계약하면 근속인정? (0) | 2024.05.20 |
'조기재취업수당' 나도 받을 수 있을까?(실업급여) (1) | 2024.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