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33 채권 이해: 채권 투자가 정기예금보다 유리한 점 ◼︎ 채권의 수익률을 정기예금보다 높일 수 있는 방법보통 현금이 많지만, '주식 및 부동산투자'는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안전한 '정기예금'에 현금을 투자한다.'채권'상품이 일반인들에게 '정기예금' 보다 낯설기 때문인 것 같다. 이 글을 작성하고 있는, 2025년4월 현재의 정기예금상품 기본금리와 채권상품의 기본금리를 비교한 결과, 정기예금상품이 채권상품보다 약 0.2% 높다. 과거 5년의 정기예금과 국고채를 비교해보면,정기예금보다 채권의 수익률이 조금 더 높았던 것을 볼 수 있다. 1. 채권의 경우, 정기예금보다 만기가 긴 상품이 존재하기 때문에 더 높은 수익률의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2. 채권의 숨겨진 수익: 롤링효과1년물 국고채를 매입한 후, 1년간 보유하면 2.67%의 수익률이 확정된다... 2025. 4. 28. 채권 이해: 듀레이션(duration) ◼︎ 듀레이션(duration)채권 등 모든 확정 금리 상품은 그 상품에서 나오는 모든 현금흐름의 잔존 만기 평균 기간(투자 시점에서 원금과 이자를 회수하는 시점까지 걸리는 평균 기간)에 따라 가격민감도 또는 가격변동성이 변화하게 된다.이 모든 원리금의 잔존 만기 평균을 '듀레이션(duration)'이라고 한다. *풀이듀레이션 3년의 채권은 1년짜리 채권보다 시장 금리의 변화에 따른 가격 변화의 폭이 대략 3배 크다. 채권 딜러는 시장금리 하락(=채권가격 상승)을 예상하는 경우, 만기가 긴 채권을 펀드에 보유하길 원하고,반대로 시장금리 상상(=채권가격 하락)을 예상하는 경우,만기가 짧은 채권을 펀드에 보유하길 원한다.채권의 듀레이션이 길수록 시장 금리 변동에 따른 채권 가격의 변동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 2025. 4. 14. 채권의 이해: 발행주체 및 신용도 별 채권 종류 채권에도 계급이 있다.그 계급은 채무자가 원리금을 잘 갚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신용등급에 따라 정해진다. *채권은 발행 주체 및 신용도에 따라 크게 5가지로 구분된다.구분발행 주체발행 목적신용등급국채정부나라의 재정을 위해 국회의 동의를 얻은 후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정부가 원리금을 보장하는 최상위 신용등급(무위험 채권)지방채지방자치단체*지방자치단체에서 지방재정법, 도시철도법 등의 규정에 의거 특수 목적의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자동차를 구매할 때 의무적으로 구입해야하는 첨가소화채권국가로부터 보조를 받는 지방 정부가 원리금을 보장하기 때문에 최상위 신용등급(무위험 채권)특수채법인(공기업)예금보험공사, 토지주택공사, 한전, 도로공사 등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법인이 발행하는 채권AAA(공사채 대.. 2025. 3. 9. 영화 '미키17' 후기 https://tv.naver.com/v/70820251 네이버 영화 예고편 저장소'미키17' Printed Reviewtv.naver.com 봉준호 감독이 제작한 영화로 개봉되기 전부터 화제를 모았던 영화 '미키17' 건물, 지하철 등 출근길 곳곳에 붙어 있는 광고 효과로 나도 보게 되었다. 영화는 총 137분의 러닝타임인데, 상영시간에 딱 맞춰갈 필요는 없는 것 같다.(시간에 맞춰 도착해도, 10분간 광고만 틀어주기 때문이다.) 영화 제목이 '미키17'인 이유는 무엇일까? 극 중에 주인공의 이름이 '미키 반즈' 이고, 17번째 복제인간을 뜻하여 '미키17'이다. 주인공 '미키'는 사업에 실패해서 큰 빚을 지고, 채권자를 피하기 위해, 지구를 떠나 새로운 행성을 개척하려는 우주선에 얼떨결에 탑승한다. .. 2025. 3. 2. 이전 1 2 3 4 ··· 8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