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우리나라 건강보험제도는 저렴한 가격에 우수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이 평가받는다.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올해 건강검진 대상자인지 여부를 확인해서, 대상자라면 꼭 올해 안에 검진을 받아야 한다.
만일 해당년도 내에 건강검진을 받지 않을 경우, 사업주와 근로자에게 불이익이 있다.
*근거법: 산업안전보건법
제175조(과태료) ⑥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개정 2020. 3. 31., 2021. 8. 17.> 1. 제32조제1항(제5호의 경우만 해당한다)을 위반하여 소속 근로자로 하여금 같은 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른 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하도록 하지 아니한 자 2. 제35조를 위반하여 근로자대표에게 통지하지 아니한 자 3. 제40조(제166조의2에서 준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제108조제5항, 제123조제2항, 제132조제3항, 제133조 또는 제149조를 위반한 자 ※ 제133조(건강진단에 관한 근로자의 의무) 근로자는 제129조부터 제131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사업주가 실시하는 건강진단을 받아야 한다. 다만, 사업주가 지정한 건강진단기관이 아닌 건강진단기관으로부터 이에 상응하는 건강진단을 받아 그 결과를 증명하는 서류를 사업주에게 제출하는 경우에는 사업주가 실시하는 건강진단을 받은 것으로 본다. |
④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개정 2020. 3. 31., 2020. 6. 9., 2021. 5. 18., 2021. 8. 17.> 1. 제10조제3항 후단을 위반하여 관계수급인에 관한 자료를 제출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제출한 자 2. 제14조제1항을 위반하여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계획을 이사회에 보고하지 아니하거나 승인을 받지 아니한 자 3. 제41조제2항(제166조의2에서 준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제42조제1항ㆍ제5항ㆍ제6항, 제44조제1항 전단, 제45조제2항, 제46조제1항, 제67조제1항ㆍ제2항, 제70조제1항, 제70조제2항 후단, 제71조제3항 후단, 제71조제4항, 제72조제1항ㆍ제3항ㆍ제5항(건설공사도급인만 해당한다), 제77조제1항, 제78조, 제85조제1항, 제93조제1항 전단, 제95조, 제99조제2항 또는 제107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을 위반한 자 4. 제47조제1항 또는 제49조제1항에 따른 명령을 위반한 자 5. 제82조제1항 전단을 위반하여 등록하지 아니하고 타워크레인을 설치ㆍ해체하는 자 6. 제125조제1항ㆍ2항에 따라 작업환경측정을 하지 아니한 자 6의2. 제128조의2제2항을 위반하여 휴게시설의 설치ㆍ관리기준을 준수하지 아니한 자 7. 제129조제1항 또는 제130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근로자 건강진단을 하지 아니한 자 * 제129조(일반건강진단) ① 사업주는 상시 사용하는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위하여 건강진단(이하 “일반건강진단”이라 한다)을 실시하여야 한다. 다만, 사업주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건강진단을 실시한 경우에는 그 건강진단을 받은 근로자에 대하여 일반건강진단을 실시한 것으로 본다. ② 사업주는 제135조제1항에 따른 특수건강진단기관 또는 「건강검진기본법」 제3조제2호에 따른 건강검진기관(이하 “건강진단기관”이라 한다)에서 일반건강진단을 실시하여야 한다. |
건강검진을 실시하지 않은 근로자에게는 3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단, 사업주의 적극적인 독려에도 불구하고, 건강검진을 근로자가 실시하지 않은 경우만 해당됨.)
건강검진을 실시하지 않은 사업주에게는 1천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근로자 본인이 건강검진 대상자임에도 불구하고,
검사 기한 내에 건강검진을 하지 못했다면,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에 전화해서 건강검진 추가 등록 신청을 반드시 해야만 한다.
#꿀 팁!
년도 말에는 건강검진을 받으려는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리기 때문에,
연초나 년도 중간에 받는 것을 권장한다.
'HR(인사노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재원규정 만들기(주재원 생계비 근거 찾기) (6) | 2024.10.20 |
---|---|
4대보험가입증명서 한번에 발급 받기 (2) | 2024.09.21 |
상시근로자 기준, 상시근로자 수 계산 (0) | 2024.08.11 |
채용 이력서에 기재할 필요 없는 정보 (0) | 2024.07.13 |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어떻게 분류? (0) | 2024.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