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339 육아휴직 신청 언제까지 해야할까? 육아휴직 신청은 언제까지 해야할까?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3장의 제19조(육아휴직)'에 근거하여, 사업주는 근로자가 '육아휴직'을 신청한 경우, 이를 허용해야 한다. (단, 근로자의 해당 사업장 근로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는 제외) 그렇다면, 근로자가 바로 내일부터 '육아휴직'을 사용하겠다고 통보한 경우, 사업주는 이를 허용해야만 할까? 당장 대체할 근로자가 없는 경우, 사업주의 입장이 매우 곤란해질 것이다. 그래서,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1조(육아휴직의 신청 등) 1항'에서는 근로자가 휴직개시 예정일의 30일 전까지 사업주에게 신청서를 제출하도록 정하고 있다. https://www.law.go.kr/LSW//lumLsLinkPop.do.. 2024. 3. 25. 출퇴근 교통사고(산재인정 여부) 출근길 교통사고 퇴근길 교통사고 발생하면 안되지만, 발생해버렸다면 잘 알아보고 대처해야 한다. 일단, 출퇴근길에 발생한 교통사고는 산재인정이 된다. 근거: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37조 3항 3. 출퇴근 재해 가. 사업주가 제공한 교통수단이나 그에 준하는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등 사업주의 지배관리하에서 출퇴근하는 중 발생한 사고 나. 그 밖에 통상적인 경로와 방법으로 출퇴근하는 중 발생한 사고 Q. 출퇴근길 교통사고는 산재 인정이 되는데, 입원기간 동안 연차를 사용해야하는가? ☞ 두 가지 안 중에 선택하면 된다. 1안) 입원기간 동안, 연차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무노동 무임금' 원칙에 따라 입원기간은 무급처리 된다. 대신, '근로복지공단'에 산재로 인한 '휴업급여'를 신청하면, '근로복지공단'으로.. 2024. 3. 9. 장애인고용부담금(ver.2024년) 공공기관은 물론이고, 민간사업주(회사)도 장애인근로자를 의무적으로 고용해야하며, 의무고용율을 미달할 경우, '장애인고용부담금'을 신고/납부해야만 한다. (※ 근거법: 장애인고용촉직 및 직업재활법 제33조) https://www.law.go.kr/LSW/lsInfoP.do?efYd=20220712&lsiSeq=239371#0000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 국가법령정보센터 | 법령 > 본문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시행 2022. 7. 12.] [법률 제18754호, 2022. 1. 11., 일부개정] www.law.go.kr ◼︎ 장애인 고용부담금 취지 사회 연대책임의 이념을 반영하여 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와 고용하지 않은 사업주의 경제적 부담을 평등하게 조정함으로써, 장애인 고용에 따른 비.. 2024. 2. 25. 회사의 증명서 발급 의무(사용증명서) 지금 이 순간에도 인사 업무를 담당하는 실무자는 임직원(근로자)의 요청을 수시로 받고, 처리 및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을 것이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인사(HR) 업무는 그 범위가 광범위하다. 그래서, 항상 공부하고 노력해도 그 끝이 보이질 않는다. 오늘은 사용증명서에 대해 알아본다. ■ 사용증명서 근로자가 퇴직한 후에 새로운 직장에 재취업을 위하여 이력서를 작성할 경우, 이전에 근무한 직장의 사용자가 근무경력 등을 증명하는 서류를 사용증명서라고 한다. ■ 사용증명서 청구의 제한 사용증명서를 청구할 수 있는 자는 계속하여 30일 이상 근무한 근로자로 하되, 청구할 수 있는 기한은 퇴직 후 3년 이내로 한다(「근로기준법 시행령」 제19조). 퇴직 후 오랜 기간이 .. 2024. 2. 11. 이전 1 ··· 6 7 8 9 10 11 12 ··· 8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