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채권4

채권 이해: '위험'에 관하여 투자를 시작할 때, '위험하다' 라는 뜻을 잘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보통은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을 경우, '위험하다'라고 인식하는데, 경제학 이론에서의 '위험'은 원금손실 여부와 무관하다. 주사위 종료 '예금1'의 경우,주사위를 6번 던져서 나올 수 있는 기대수익률은 3.5%다.주사위를 1번 던졌을 때, 나오는 값이 3.5%(기대수익률)를 벗어날 확률과 벗어날 수 있는 범위의 정도를 경제학 이론에서는 '위험(=변동성)' 이라고 한다. 투자자의 인식에서 원금손실이 아니기 때문에, 위험하지 않다고 보지만, 경제학 이론에서는 '위험'으로 본다. 반대로,주사위 종류 '예금3'의 경우,투자자의 인식에서 원금손실이기 때문에, 위험하다고 보지만,경제학 이론에서는 -1%의 기대수익률을 벗어날 확률과 벗어날 수.. 2025. 6. 23.
채권 이해: 기대수익률 투자 = '미래의 부'를 위해 '현재의 부'를 희생하는 행위 미래의 부 = 가치현재의 부 = 가격 투자 = '가치'를 위해, '가격'을 희생하는 행위 '가치투자'는 '가치'와 '가격'을 비교해서, '가치'가 '가격' 보다 높을 때, 실행하는 투자미래의 부 = 가치 = 기대수익률 x 위험 기대수익률 = 투자자산에 여러 가지 확률을 모두 고려해 기대되는 평균수익률 예시)동전 던지기를 해서, 앞면이 나오면 투자금의 20%를 지급하고, 뒷면이 나오면, 투자금의 10%를 지급하는 상품이 있다면, 이 상품의 기대수익률은 15%이다.(50% x 20%) + (50% x 10%) = 15% 예시 2)1~6까지 적힌 주사위의 기댓값은 그 평균값인 3.5이다.(6+5+4+3+2+1) / 6 = 3.. 2025. 6. 16.
채권의 이해: 발행주체 및 신용도 별 채권 종류 채권에도 계급이 있다.그 계급은 채무자가 원리금을 잘 갚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신용등급에 따라 정해진다.  *채권은 발행 주체 및 신용도에 따라 크게 5가지로 구분된다.구분발행 주체발행 목적신용등급국채정부나라의 재정을 위해 국회의 동의를 얻은 후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정부가 원리금을 보장하는 최상위 신용등급(무위험 채권)지방채지방자치단체*지방자치단체에서 지방재정법, 도시철도법 등의 규정에 의거 특수 목적의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자동차를 구매할 때 의무적으로 구입해야하는 첨가소화채권국가로부터 보조를 받는 지방 정부가 원리금을 보장하기 때문에 최상위 신용등급(무위험 채권)특수채법인(공기업)예금보험공사, 토지주택공사, 한전, 도로공사 등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법인이 발행하는 채권AAA(공사채 대.. 2025. 3. 9.
'채권' 투자의 이해 2023년도 미국 실리콘밸리 은행의 파산으로 '채권투자'에 대한 관심과 궁금증이 일었는데, 금리와 채권은 반비례 관계라는 정도의 개념만 정리하고 지나갔었다.  오늘은 유튜버 '슈카'가 정리한 '채권투자의 이해'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서, 주식 보다 채권투자가 유리해질 시기에 미리 대비해보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채권을 이해하면, 시장참여자들이 전망하는 미래의 시장 분위기를 짚어낼 수 있다고 하니, 아주 중요하다.◼︎ 채권(Bond = Fixed Income = 고정수익형상품) ※ 중요: 고정수익형상품인 채권으로도 손실을 볼 수 있다. *금리(할인율)와 채권가격은 반비례다.(금리가 오르면 채권가격이 내려간다.)'채권'은 '예금'과 다르게 미래의 원금이 고정되어 있다.미래의 원금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2025. 1.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