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요즘 경제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내용이 '미국 장단기 금리 역전(장단기 금리차이)'현상 이다.
장기금리와 단기금리의 역전현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공부한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정의해보자.
*장기금리: 10년을 대출했을 때, 은행에 지불해야 하는 금리
*단기금리: 1년을 대출했을 때, 은행에 지불해야 하는 금리
대출기간이 길어질수록 그 빚에 대한 상환불확실성이 커지기 때문에 빚에 붙는 수익인 금리가 커진다.
그렇기 때문에, 보통의 상황에서는 10년짜리 대출의 금리가 1년짜리 대출의 금리보다 높다.
그런데, 만약 앞으로 다가올 1년간의 경제상황이 10년 후보다 안좋을 것 같다고 예상된다면,
은행 입장에서 좀 불안한 1년짜리 대출을 해주는 것 보다는
여유가 있을 것 같은 10년짜리 대출을 더 선호하게 될 것이다.
이런 경제논리를 이용하여, 언론과 경제학자들은 경기전망을 한다.
장기금리와 단기금리 격차가 현격히 줄어들거나 역전되면, 곧 경기가 나빠질 것이라는 시그널로 본다는 것이다.
3.29(월) 뉴욕채권시장에서 2년 만기 국채금리가 10년 만기 국채금리를 일시 추월한 현상이 발생했고,
이를 경기침체의 신호탄으로 여기는 시장분위기가 있었다.

출처: 이효석아카데미
하지만, 경제와 주식은 살아움직이는 생물과도 같다.
시장은 변수가 너무 많고, 경제주체들의 심리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예측 또한 어렵다.
그래서 결론은,
어느 한가지 경제지표에 매몰되지 말자.
'Invest(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IRP 투자 종목(위험자산 투자한도) (0) | 2022.04.25 |
---|---|
공모주청약: 포바이포(~4.20) (0) | 2022.04.20 |
미국주식 AT&T(티커:T) 스핀오프 WBD (0) | 2022.04.16 |
퇴직소득세 계산(퇴직금 소득세) (0) | 2022.04.12 |
IRP에 대한 궁금증, 퇴직금을 IRP로 받으면 좋은 점 (0) | 2022.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