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vest(투자)

미국 장단기 금리 역전(장단기 금리차)

by 클아우 2022. 4. 6.
728x90
반응형

요즘 경제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내용이 '미국 장단기 금리 역전(장단기 금리차이)'현상 이다.

장기금리와 단기금리의 역전현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공부한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정의해보자.

*장기금리: 10년을 대출했을 때, 은행에 지불해야 하는 금리

*단기금리: 1년을 대출했을 때, 은행에 지불해야 하는 금리

대출기간이 길어질수록 그 빚에 대한 상환불확실성이 커지기 때문에 빚에 붙는 수익인 금리가 커진다.

그렇기 때문에, 보통의 상황에서는 10년짜리 대출의 금리가 1년짜리 대출의 금리보다 높다.

그런데, 만약 앞으로 다가올 1년간의 경제상황이 10년 후보다 안좋을 것 같다고 예상된다면,

은행 입장에서 좀 불안한 1년짜리 대출을 해주는 것 보다는

여유가 있을 것 같은 10년짜리 대출을 더 선호하게 될 것이다.

이런 경제논리를 이용하여, 언론과 경제학자들은 경기전망을 한다.

장기금리와 단기금리 격차가 현격히 줄어들거나 역전되면, 곧 경기가 나빠질 것이라는 시그널로 본다는 것이다.

3.29(월) 뉴욕채권시장에서 2년 만기 국채금리가 10년 만기 국채금리를 일시 추월한 현상이 발생했고,

이를 경기침체의 신호탄으로 여기는 시장분위기가 있었다.

         출처: 이효석아카데미

 

하지만, 경제와 주식은 살아움직이는 생물과도 같다.

시장은 변수가 너무 많고, 경제주체들의 심리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예측 또한 어렵다.

그래서 결론은,

어느 한가지 경제지표에 매몰되지 말자.